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첫경험.....
    나만의 얼빵한일상 2007. 8. 24. 22:27

        좀 뜸했습니다만....다들 어째 지내십니까? 요즈음 가만히 앉아 있어도 그 넘의 땀방울 물동이 얼음 녹아 내리듯 주르르 흐르죠.... 첫경험....기대할 꺼 엄꼬 그 사연은 이렇습니다 (^L^ 요번 여름휴가 때 있었던 일 입니다만 서울서 친구만나 시간 잘 보내고 다음날 석촌호수에서 폼잡고 사진 좀 찍을려니 아니 도대체가 디카가 먹통이라 우선 마눌 핸폰으로 몇장 아쉬움 달래놓고 지난 5월달 어데 갈적에 면세점 구입한 것인디 벌씨로 고장인가? 아님 밧데리가 떨어졌는가? 하여 디카전문 서비스센타 네비로 겨우 찾아 갔더만 어데 부딪혀 LCD창이 깨어져 교체해야 하며 비용은 5만4천원 소요시간은 30~40분정도 기다려야 한단다 시방 서해 쪽으로 휴가여행을 막 시작하려던 참인데 사진기도 없이 그냥 갈 수는 없는거 아닌가배, 그래서 할 수 없이 시간도 바쁘고 아깝지만 그동안 뭘하지? 도로변이라 마침 건물 앞에 헌혈버스가 눈에 띄길래 순간 머리에 별이 반짝반짝거려 무작정 뛰어 올라갔다 평소 언젠가 한번 해 보리라는 마음으로 벼루고 있었지만 여기서 딱 걸렸네 뭐어....^^* 입구에 앉은 아제...한눈에 기사 아저씨 같이 보였다 저~ 아자씨 헌혈하는데 시간이 대충 얼마 걸리는데예? 극히 사무적인 어투로....예~ 한 30분정도 걸립니다.... 햐~ 그렇다면 지금 실데없이 갈팡질팡 시간보내니 헌혈하고 나서 바로 사진기 찾으로 가모 딱 맞겠네 어쩜 이런 좋은 기회, 일부러 시간 내기도 그렇더만 요 이상 보람있게 시간보내는기 조선천지 어디 있겠노? 참 잘 된네...안그래유?....주차장에서 좀 기달려~ 마눌라 이렇게해가 이 넘 태어나 첨으로 헌혈을 하게 된거유 사실 내는 총각시절 176cm에 몸무게 61~62kg로 평생 살 안찌는 마른 인간형처럼 멍애를 안고 살다가 헌혈차에 올라가 혹시 체중미달로 무안당할까 지레짐작 지 스스로 겁 묵으며 쳐다보도 않았는데 장가들어 태평세월로 나이 살 묵고 10kg가 불었으니 이런 기회 이 참에 소원성취(?)한 것이라고나 할까....ㅎㅎ 일찍이 생각컨데 헌혈이 사회에 봉사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중의 하나이고 듣자하니 건강도 점검할 수 있는 일석 이조의 장점도 갖고 있다든데 저는 '헌혈 예찬론자'는 아님니다만....봉사는 누구나 한번쯤 학창시절 JRC(나중 RCY로..)활동부터 거슬러 올라가겠지만....잠시 이런 사연은 접어 두고라도 헌혈이 가장 쉬운 사회봉사라 말하지만 실천하기 그리 쉽지 않고 혈액 수급이 갈 수록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속에서도 예전에는 무작위로 그냥 쉽게 헌혈했었다는데 요즘 자꾸만 방송에서도 혈액 사고가 나오고 수혈받다 에이즈 걸린다 어쩌고 그러니깐... 그래서일까....생각보다 절차가 까다로웠답니다 그래도 시간과 여건만 된다면야 차후로도 계속 해 볼 작정입니다.... 챙기가 나올려니 헌혈증서와 우산을 선물로 줍디다요. 저도 마침 이 글 쓰면서 찾아 봤는데요 수혈 때는 모를까 헌혈할 때는 전염이란 있을 수 없고요 1. 헌혈자 기준 (1) 연령 : 만16세 이상 65세 미만인자 (1991년06월11일 이전 출생자) (2) 체중 : 남자 50㎏, 여자 45㎏ 이상인 자 (3) 외과수술 및 수혈 후 6개월이 경과한 자 (4) 약물(감기약, 피부약, 혈압 약 등 단, 소화제는 제외)복용 및 병원 치료 중인 자는 불가 (5) 발열, 간염, 매독, 당뇨, 알코올, 마약중독, 경련, 심신질환자, AIDS감염자는 불가 (6) 기타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자는 불가 2. 건강진단으로서의 헌혈 헌혈자의 건강진단을 위해 혈액형, B형 간염항원검사, C형 간염항체검사, 매독항체검사, 간기능(ALT)검사를 하여 그 결과를 2주일내로 우편으로 알려 줍니다. 그리고, 간기능검사에서 이상을 보이거나 B형, C형 간염검사에서 양성반응을 보인 혈액에 대해서는 추가검사를 실시하여 줍니다. 전혈은 1년간 5회 이내로 제한되며 즉, 2번째 헌혈주기가 최소한 2개월 지나서란 말이죠 여자분들의 경우 이 보다는 좀 더 기준치를 높게 봐야 합니다. 3,4개월에 1번 정도가 좋다는군요 성분헌혈은 1년 24회로 제한됩니다. 성분헌혈은 2주후에 헌혈이 가능합니다. 이상은 헌혈자의 안전을 위한 최소한의 기준입니다. 더불어 수혈자를 좀 더 위한다면 전혈과 혈소판 성분헌혈이 바람직하답니다 이상 다음카페에서 읽었습니다.... 아래는 깔끔한 헌혈광고 입니다만.... 이 글 보고나면 벌써 끝났을테니 한번더 play해 보세용..^^*

    '나만의 얼빵한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은...  (0) 2007.09.21
    테마여행 가볼라꼬....  (0) 2007.08.27
    팔공산 산행후기  (0) 2007.08.16
    여름은 이제 시작인데....  (0) 2007.08.03
    하기휴가  (0) 2007.07.24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