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겨 스케이팅 용어흔해빠진 일반상식 2010. 3. 9. 16:35
댄스 스텝(Dance step) :
일반적으로 행행지고 있는 댄스의 스텝과 같은 동작을 빙상에서 바꾸어 놓은 것.
프리계의 연기에서도 자주 사용된다.
더블 드리(Double three) :
컴펄서리. 피겨의 도형 17종류 중의 하나. 드리 턴을 연속적으로 두 번 행하는 것.
드리(Three) :
컴펄서리. 피겨의 도형 17종류 중의 하나. 포어 아웃에서 백 인으로,
포어 인에서 백 아웃으로, 드리 턴으로 연결된 것으로서 2개의 원이 연속해서 그려진다.
이 드리 턴을 연속적으로 두 번 행하는 것을 「더블 드리」라고 한다.
드리 점프(Three jump) :
빙상에서의 드리 턴을 점프해서 공중 동작으로 바꾸어 놓은 것 같은 것.
전진 바깥 돌기로부터 뛰어올라 반회전하고, 반대쪽 발로 착빙해서 그대로 후진한다.
뜬 발 : 활주할 때에 빙면에 접하고 있는 쪽의 발을 말한다.
「스케이팅 푸트」,「스케이팅 레그」라고도 한다. 또 반대쪽의 발을 「프리 레그」라고 한다.
런 스텝(Run step) :
스케이트로 급히 활주하는 것. 아웃, 인의 에지를 번갈아 사용해서
전진 또는 후진 활주를 행하지만, 어느 것이나 프리 스케이팅에 스피드를 가미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로커(Rocker) :
컴펄서리 피겨의 도형 17종류 중의하나. 도형은 3개의 연속된 원으로 되어 있고,
한쪽 발로 원을 하나 반을 그리고, 또 한쪽 발로 나머지의 하나 반의 원을 그린다.
활주법에는 전진 밖으로 돌기. 후진 밖으로 돌기, 전진 안으로 돌기, 후진 안으로 돌기의 4가지 방법이 있다.
루프(Loop) :
컴펄서리 피겨의 도형 17종 중의하나.
2개의 원의 내부에 각각 또 하나의 작은 링을 붙인 도형으로서, 프리계의 연기에도 많이 사용된다.
활주 방법에는 전진 밖으로 돌기, 전진 안으로 돌기. 후진 밖으로 돌기, 후진 안으로 돌기의 4가지의 방법이 있다.
루프 점프(Loop jump) :
후진 밖으로 돌기에서 뛰어올라, 공중에서 1회전하는 점프를 말한다.
착빙은 힘차게 뛰어오른 발로하고, 그대로 후진 밖으로 돌기로 옮긴다.
루쯔 점프(Lutz jump) :
후진 밖으로 돌기에서 프리 레그의 발끝으로 뛰어올라 공중에서 완전히 1회전하는 점프를 말한다. 전주가 후진 밖으로 돌기가 되는 점이 플립 점프와 다르다.
리프트(Lift) :
남녀의 페어 스케이팅에서 남자가 여자의 몸을 높이 들어올리는 동작을 총칭해서 말한다.
점프하는 것을 지지하건, 머리 위까지 올려서 턴하기도
하지만 동작의 방법이나 자세, 회전 등에 따라 수많은 종류가 있다.
모호크(Mohawk) :
턴의 일종으로서, 아이스 댄싱에서 많이 사용될 뿐 아니라 프리 연기에도 활용된다.
샐코우 점프(Salchow jump) :
한쪽 발로 후진 안쪽 돌기로 뛰어 점프해서 공중에서 1회전하고,다른 쪽 발로 내려온 후,
그대로 후진을 행하는 것. 공중에서 2회전, 3회전의 어려운 것도 있다.
스웨덴의 울릿히 샐코우가 고안한 것이므로 이와 같이 명명되었다. 단순히 「샐코우」라고도 한다.
서클(Circle) :
빙상에 그려진 원형도를 말한다. 컴펄서리의 기본도형이다.
쇼트 프로그램(Short program) :
프리 스케이팅의 축소판이라고도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실시 요소에는 점프 스핀 등이 규정되어 있다. 싱글과 페어로 행하여지는 경기 종목.
스위 롤(Swing roll) :
아이스 댄싱에서의 초보적 스텝의 일종. 음악에 맞추어 커브를 그리면서 한쪽의 떠있는 발을 뒤쪽에서 앞쪽으로 흔들어내어 발을 바꾸는 것.
스케이트 링크(Skate link) :
스케이트 장. 피겨 스케이트는 스케이트 장 전면에 걸쳐 연기가 행하여지지만,
넓이에는 일정한 기준이 설정되어 있다.
국제 스케이트 연맹에서는 56×26m 이상으로, 60×30m를 표준으로 하고,
올림픽이나 세계 선수권에서는 실내 링크로 규정하고 있다.
스케이팅 푸트(Skating foot) :
활주할 때 빙면에 접하고 있는 발. 「스케이팅 레그」라고도 한다.
반대쪽 발을 「뜬 발」또는 「프리 레그」라고도 한다.
스텝(Step) :
프리 스케이팅의 기본 동작의 하나로서, 활주 중 발을 바꾸어 내디디면서
커브, 턴, 체인지를 이용해서 활주하는 것.
스파이럴(Spiral) :
프리 스케이팅의 내용을 구성하는 것의 하나로서,
한쪽 발로 소용돌이를 그리듯이 달리는 활주법을 말한다.
스프레드 이글(Spread eagle) :
프리 스케이팅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양발을 크게 벌리고 大자와 같은 자세로 커브를 그리는 것.
이 커브를 계속하면 큰 서클을 만들 수 있다.
스플리트 점프(Split jump) :
우측의 토우(스케이트의 끝)로 점프하여 공중에서 발을 크게 벌리고 반회전한 후,
좌측의 토우로 착빙하는 점프를 말한다.
스핀(Spin) :
몸의 중심선을 축으로 하여 팽이처럼 일정한 곳에서 전신을 선회시키는 것.
양쪽 팔은 가슴에 대고, 한쪽 발을 축으로,
떠있는 발을 축으로 한 발에 붙이는 것이 풍압이 적어 스피드가 나온다.
양발을 회전축으로 하는 것이나, 우회전, 좌회전 등 수많은 종류가 있다. 그
러나 여러 가지의 스핀이 차례로 안출되어 명칭이 정해지지 않은 것도 많이 볼 수 있으나
이러한 스핀을 총칭하여 「변형 스핀」이라고 부르고 있다.
시트 스핀(Sit spin) :
한 쪽 발을 축으로 하여 허리를 낮게 내리고, 움추린 자세로 회전하는 것을 말한다.
잭슨 헤인즈가 고안하였으므로 「잭슨 헤인즈 스핀」이라고도 한다.
* 더블악셀: 공중 2회전반
* 트리플 러츠: 공중 3회전
* 트리플 악셀: 공중 3회전반
* 트리플 플립-트리플 토우 로프 콤비네이션: 연속 3회전 점프
* 스파이럴: 한쪽 다리를 들고 활주하는 기술
* 플라잉 싯스핀: 번쩍 뛰어오른 뒤 앉아서 회전하는 연기
* 레이백 스핀: 허리를 뒤로 젖혀서 도는 스핀
* 살코우: 한쪽 발로 뒤로 돌아 뛰어 오른 뒤 공중에서 회전하고 다른발로 착지하는 기술
* 트리플 살코우: 공중 3회전
* 이너바우어: 양발의 스케이트날이 반대인 상태로 허리를 뒤로 젖힌 채 활주하는 기술
* 살코: 두발을 벌려서 점프
* 루프: 두발을 꼬아서 점프
* 비엘만 스핀: 다리를 머리 뒤로 들어올려 손으로 스케이트 날을 잡고 도는 기술
'흔해빠진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악저작권 해당여부 검색... (0) 2010.03.30 새 음악 저작권법 4월16일부터 시행 (0) 2010.03.30 너덜너덜 속담 (0) 2010.03.09 트랜지스터 (0) 2010.03.08 성악을 감상하는 법 (0) 2010.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