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가상각비의 계산
유형자산은 시간의 경과 및 사용으로 가치가 감소하므로 자산의 원가를 내용연수에 걸쳐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배분하는 과정을 말한다.1. 감가상각비의 계산요소
1) 취득원가
- 유형자산의 구입가액 또는 제작가액에 이를 사용하게 되기까지의 부대비용을 가산한 금액.
2) 내용연수
- 내용연수의 추정시는 물리적인 감가를 고려하여야 하며, 기능적 감가가 나타날 것도 예상하여 결정.
3) 잔존가액
- 내용연수를 경과하고, 폐기되는 때의 추정처분가액에서 처분과 관련된 비용을 차감한 금액
2. 감가상각의 계산방법1) 정액법 (fixed amount method)
- 유형자산의 취득원가를 매기간 균등하게 상각하는 방법
- 계산절차가 간단하고 비교적 기능적 감가가 적게 나타나는 건물이나 구축물 등에 적합
ㅇ 감가상각비 = (취득원가 - 전존가액 ) / 내용연수
- 예, 취득원가 2,000,000원, 잔존가액 200,000원, 내용연수 5년의 기계장치의 감가 상각액을 정액법으로 구하면,
감가상각비 = (2,000,000 - 200,000) / 5년 = 360,000년도 기초장부가액 감가상각비 감가상각누계액 기말장부가액
1 2,000,000 360,000 360,000 1,640,000
2 1,640,000 360,000 720,000 1,280,000
3 1,280,000 360,000 1,080,000 920,000
4 920,000 360,000 1,440,000 560,000
5 560,000 360,000 1,800,000 200,000
2) 정률법 ( fixed percentage method)- 기초의 장부가액에 상각율을 곱하여 감가상각비를 구함
- 자산의 취득 초기에 많이 상각하는 방법
ㅇ 감가상각비 = 미상각 잔액 X 정율
미상각 잔액 = 취득원가 - 감가상각누계액
정율 = 1- ⁿ √ (잔존가액 / 취득원가)
- 예, 취득원가 2,000,000원, 잔존가액 200,000원, 내용연수 5년의 기계장치의 감가 상각액을 정률법으로 구하면,ㅇ 상각률 (정액) = 1- 5 √ (200,000 / 2,000,000) = 0.369 (36.9%)
년도 기초장부가액(A) 가상각율(B) 감가상각비(A)X(B) 기말장부가액(A)-(C)1 2,000,000 0.369 738,000 1,262,000
2 1,262,000 0.369 465,700 796,300
3 796,300 0.369 293,800 502,500
4 502,500 0.369 185,400 317,100
5 317,100 0.369 117,100 200,000
3) 생산량 비례법
- 생산량에 비례하여 상각하는 방법
- 감모성 자산에 적합
ㅇ 감가상각비 = 취득원가 X (실재생산량 / 추정 총 생산량)
- 예, 광산물 300,000원에 구입하였다, 이곳에 매장된 광물은 250,000톤으로 추정된다. 당해연도의 채굴한 광물이 20,000톤이라고 하면, 당해연도의 상각액은300,000 X (20,000톤 / 250,000톤) = 24,000원
4) 연수 합계법 (sum of yesrs' digits method)- 정율법의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음
- 정률법에 비하여 가감의 정도가 나은 것으로 미국에서 사용
ㅇ 매기 감가상각비 = (취득가액 - 잔존가액 ) X 잔여 내용 년수 / 내용연수의 급수합계ㅇ 내용년수의 급수합계 = 내용연수 X ( 1+ 내용년수)/2
- 예, 취득원가 2,000,000원, 잔존가액 200,000원, 내용연수 5년의 기계장치의 감가 상각액을 연수합계법으로 구하면,내용 연수의 급수 합계 = 5 X ( 1+5)/2 = 15
< 계산 >년도 계산식 감가상각액
1 (2,000,000 - 200,000) X 5/15 600,000
2 (2,000,000 - 200,000) X 4/15 480,000
3 (2,000,000 - 200,000) X 3/15 360,000
4 (2,000,000 - 200,000) X 2/15 240,000
5 (2,000,000 - 200,000) X 1/15 120,000
년도 기초장부가액 감가상각비 기말장부가액
1 2,000,000 600,000 1,400,000
2 1,400,000 480,000 920,000
3 920,000 360,000 560,000
4 560,000 240,000 360,000
5 360,000 120,000 200,000
'흔해빠진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소폰 테크닉의 소개 (2) (0) 2009.09.18 색소폰 제대로 연주하기(1) (0) 2009.09.18 음악 기호 (0) 2009.04.28 워터젯 지방흡입이란 (0) 2009.04.28 맞벌이부부 '연말정산 몰아주기'는 옛말 (0) 2009.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