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악취처리시 교체주기 산정 및 흡착탑 설계모르는세상얘기들 2016. 12. 11. 22:55
[활성탄]악취처리시 교체주기 산정 및 흡착탑 설계
1. 개 요
냄새성분을 함유한 기체가 다음의 조건을 가지고 있는 경우, 에너지 소비량이 비교적 작은 흡착법이 전체적으로 경제적일 수 있다.
공기의 온도가 낮고 상온 부근이거나 높아도 100°C 이하인 경우
처리하려는 냄새성분을 함유하는 기체 중에 용매유 등 가연성분의 농도가 비교적 작은 경우
2. 설계시 고려사항
- 활성탄층 통과속도의 범위(Linear Velocity) : 0.2 - 0.4 m/sec
- 접촉시간(Contact Time) : 1 - 3 Sec
- 활성탄 충진 높이 : 1m 전후(약 0.5 - 1m)
너무 낮으면 교체주기가 짧게 되고 너무 높으면 Pressure Drop이 커진다.
- 습도(Relative Humidity of Air) : 70% 이하
- 온도(Temperature of Air) : 40°C 이하
- 유기용제 농도 : LEL의 50% 이하(단 Ketone의 경우 25% 이하)
설계를 위한 실례의 설정조건을 다음과 같이 한다.
- 처리하려는 배기량 Q = 30(㎥/min)
- 용매성분농도 Co = 120 ppm (톨루엔 40 ppm, 크실렌 80 ppm)
- 배기온도Ta = 30°C
- 배기압력 Pa = 20 mmAq
용매성분의 평균분자량 Mw 은
Mw = (92 x 40/120) + (106 x 80/120)
= (92 x 1/3) + (106 x 2/3) = 101.3
여기서 92 와 106 은 각각 톨루엔과 크실렌의 분자량이다.
이상의 조건에 기초하여 배기 중의 용매성분의 단위시간 당의 부하 w(kg/min)를 구하면 압력은 거의
대기압에 가깝다고 보아도 좋으므로 w 는 다음식에 의하여 계산된다.
ω = Q x (Co/106 ) x (Mw/22.4) x 273 / (273 + Ta)
= 30 x (120/106 ) x (101.3/22.4) x (273/303)
= 0.0147 kg/min ( = 0.88 kg/hr)
즉 매 시간당 약 0.88 kg의 용매가 발생된다.
한편 본 실례를 대상으로 하는 기체에 대해 층높이를 2단계로 하고 흡착시험을 시행하여 흡착대 Za를 구하면
Za = 0.05m인 값이 얻어졌다.
또 공탑기준의 유속 U=15m/min 인 조건에서의 동적평형 흡착량의 값으로서
qo = 0.28 (kg/kg-흡착제) (1kg의 건조 활성탄은 0.28kg의 용매성분을 흡착할 수 있다.)의 값이 얻어졌다.
더욱이 이 시험에서 입구농도 Co=120 ppm이고 출구농도 C = 5 ppm 이하의 목표로 하는 농도에 대하여는
충분히 달성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활성탄의 충전층 높이
Z = 0.6 m 일 때
qe = qo (1 - Za/2Z)
= 0.28 (1 - 0.05/2 x 0.6)
= 0.268 (kg/kg-흡착제) 로 된다.
이 식에서 (1-Za/2Z)는 충전층 높이 Z에 대한 파과시의 유효이용율을 표시하는 것이다.
더욱이 흡착대에 상당하는 충전부는 평균하여 절반흡착상태, 절반 비흡착 상태로서 50%가 흡착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활성탄의 성능열화, 조건의 변동, 장치에 대한 여유율 등의 인자를 고려하여 qe의 80%를 설계상 사용할 수 있는
흡착용량 qe'로 한다. 따라서
qe'= 0.8 x qe = 0.8 x 0.268 = 0.214(kg/kg-흡착제) 로 된다.
- 공탑기준의 유속 U = 15(m/min)
- 소요단면적 A = Q/U = 30/15 = 2㎡
- 활성탄의 충진비중 BD = 400(kg/㎥)
- 활성탄의 충진량 W = AxZxBD = 2 x 0.6 x 400 = 480 kg
따라서 유효사용기간(파과시간) tB는 충진한 활성탄 480kg이 흡착할 수 있는 혼합용매의
중량 q 가
q = W x qe'= 480 x 0.214 = 103 kg 이므로
tB = q/ω = 103/0.88 = 117 hr 로 된다.
그래서 실제의 도장시간을 하루 평균 4시간으로 하고 주당 가동일수를 5일로 하면 활성탄을 교환하는 간격은
117/(4x5) = 5.9 즉 5 - 6주로 된다.
따라서 5 - 6주간 마다 사용한 활성탄을 재생한 활성탄 또는 신탄과 교환하며 사용한 활성탄은 재생시킬 필요가 있다.
더욱이 사용한 활성탄의 중량은 용매성분 외에 수분 등을 흡착하고 있으므로 약 600 - 700 kg 로 된다.
이 경우 접촉시간은
Ct = 0.6/15 = 0.04 min = 2.4 sec 이다.
출처 : 삼천리활성탄소주식회사
'모르는세상얘기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재의 종류와 특성 (0) 2016.12.11 고도정수처리 (0) 2016.12.11 [활성탄]수처리시 교체주기 산정 및 기초설계 (0) 2016.12.11 이온교환수지 (0) 2016.12.11 여재로서의 안트라사이트 (0) 2016.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