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Primavera (Spring) in E, RV269 Le quattro stagioni Antonio Vivaldi(1678 ~ 1741 / Italia)
(사계 중 봄- 1. Allegro.) (사계/四季) (안토니오 비발디(1678 ~ 1741 / 이태리)
비발디의 사계 중 '봄', 1. Allegro.를 지휘자 : Fabio Biondi가 '유로파 갈렌티 바로크 오케스트라 (Europa Galante Baroque Orchestra)',에 의하여 연주를한 곡 입니다.
▒ 비발디(Vivaldi/1678~1741/이탈리아) 사계 중 봄 |
(연주자 : Europa Galante, 지휘자 : Fabio Biondi)
안토니오 '비발디'는 1678년 '베네치아(Venezia/이탈리아 북부지방)'에서 태어나 1741년 '빈(Wein)'에서 세상을 떠난 이탈리아의 위대한 작곡가인 동시에 뛰어난 바이올린 연주가 였으며, 또한 교육가이기도 하였습니다.
아버지와 '지 레그레찌(G. Legrenzi)'에게서 음악수업을 받았고. 1703년 신부서품을 받음(천식으로 인해 곧 예전집행은 하지 않게 됨).
1703-40년 베니스의 고아원에서 바이올린 선생과 오케스트라 지휘자로 활동.
1703년 카톨릭 성당의 사제로 출발하였으나 건강이 나빠져 1년 후에 물러나 그 후로는 전적으로 음악에 헌신하였으며, '비발디(Vivaldi)'는 붉은머리였기 때문에 항상 '빨강머리의 사제'라고 불리워젔답니다.
그리고 1703 ~ 1740년까지 베니스의 여자 고아원인 '피에타(Pietà)' 음악학교의 지휘자 겸 작곡가, 교사, 음악 감독을 역임했었습니다. 그는 이 학교를 위하여 '모테트(Mottete/수세기에 걸쳐 변형된 성악곡 양식. 주로 라틴어 가사로 된 종교합창곡이 많음)',와 '칸타타(Cantata/17~18세기 바로크 시대에 성행한 성악곡의 한 형식)', '오라토리오(Oratorio/성서나 기타 종교적, 도덕적 내용의 가사를 바탕으로 만든 서사적인 대규모 악곡)' 등을 작곡하였습니다.
특히 '비발디(Vivaldi)'가 결정한 3악장(알레그로-아다지오- 알레그로)에 의한 협주곡 형식은 '제이. 에스. 바흐(J.S.Bach)'에게 영향을 주어 '바로크(baroque/17~18세기 유럽에서 성행한, 감각적 풍요, 극적 효과, 생동감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 양식)' 시대의 가장 중요한 협주곡 형식이 되었습니다.
비발디는 미사전례를 앞두고도 온데간데없이 사라지기 일쑤였다고 합니다. 사방을 찾아다니노라면 수도원 으슥한 구석에서 바이올린을 켜고 있는 것을 발견하곤 했다니, 결코 모범적인 사제는 아니었음이 분명하다.
그러나 작곡가겸 바이올리스트로서의 그의 명성은 이미 전 유럽에 퍼져 있었으며, 25세 때는 '피에타(Pietà)' 여자 음악원의 바이올린 교사로 임명되었고, 여성으로만 구성된 그 곳의 오케스트라는 상당히 수준이 높아 그녀들을 위해 많은 곡을 작곡하기도 했답니다.~[이하생략]
|
연주자 : Europa Galante / 지휘자 : Fabio Biondi ↓↓ : 클릭을 하시면 더 큰사진을 보실수 가 있습니다.

↓↓ : 클릭을 하시면 더 큰사진을 보실수 가 있습니다.






|
비발디(Vivaldi) - 사계 중 "봄 "
4계 중 "봄" 1악장은 기다렸던 봄이 와서 기뻐하는 사람들과 새들의 모양이 밝게 묘사되어 있는 작품. 악보에는 다음과 같은 '소네트(Sonnet/서양 시가(詩歌)의 한 형식으로, 14행으로 이루어진 짧은 시[詩])'가 쓰여 있습니다.
봄이 왔다. 새는 기쁜 노래로써 봄 인사를 한다. 샘은 산들바람에 상냥히 속삭이면서 넘쳐흐르기 시작한다. 그러자 하늘은 어두워지고 천둥과 번개가 봄을 알린다. 폭풍우가 지난 뒤, 새들은 다시 아름다운 노래를 부른다.
'리토르넬로(Ritornello)' 형식인데 묘사 음으로 훌륭합니다.
제1악장 '알레그로(Allegro)'
"봄이 왔도다"라는 시가 첫머리에 놓이며, '총주(오케스트라에서 모든 악기가 함께 나오는 부분을 뜻합니다)'로 민속적인 주선율이 시작되는데,
이 '총주(오케스트라에서 모든 악기가 함께 나오는 부분을 뜻합니다)' 부분은 항상 같은 음악을 연주하는 '리토르넬로(Ritornello/음악에서 대조되는 성격의 삽입악구들 사이사이에서 반복되는 부분)'입니다.
물론 '리토르넬로(Ritornello)'는 그 길이가 길 수도, 더 짧을 수도 있으며, 그 후에 바이올린 독주 부분이 뒤따릅니다.
첫 독주 부분은 3개의 독주 바이올린에 의해 '트릴(Trill/떨리는 소리)' 기법과 '스타카토(Staccato/한 음씩 매우 짧게 끊어 연주하는 것)'로 새들의 노래가 음악으로 모방되고,
그 다음에 샘물이 졸졸 흐르는 소리, 산들바람이 부는 부분이 뒤따르며, 그러다가 천둥(트레몰로[tremolo/한 음이나 여러 개의 음을 빨리 되풀이하여 떨리는 듯이 연주하는 방법])과 번개(빠른 '패시지[Passage/독주 기악곡에서, 곡의 중요한 부분을 서로 연결해 주는 악구]'와 삼화음 음형)가 치고,
그러나 악천후가 지나가면서 새들이 다시 노래를 합니다. 밝은 봄의 분위기가 여린 소리로 울리며 끝납니다.
유명한 봄이 옴을 알리는 테마가 현악 총주되면서 시작되고, 독주 바이얼린, 제1 제2 바이얼린 '파트(Part)의 '트릴(Trill/떨리는 소리)'기법' 으로 작은 새들의 지저귐이 묘사되고, 바이얼린의 16분 음표 음형으로 샘물이 솟아오르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으며,
천둥과 번개는 '투티(Tutti/전 합주)'와 현악기들의 32분음표 '트레몰로(Tremolo/한 음이나 여러 개의 음을 빨리 되풀이하여 떨리는 듯이 연주하는 방법)' 기법으로 표현되고 있습니다
|
비발디(Vivaldi) - 사계 중 "봄 "
▒ 제2악장 '라르고 (Largo e pianissimo)' |
꽃이 피는 들녘엔 이파리가 속삭이고 양치기는 충실한 개 옆에서 노곤히 낮잠을 즐기고, 솔로 바이얼린이 목장에서 한가로이 쉬고 있는 목동들의 노래를 부르고,
그 배경에는 현약약주가 바람에 스쳐 흔들리는 나뭇잎들을 그리고 있습니다. 비올라가 '피피(pp/갑자기 매우 여리게라는 뜻임)' 의 점음표로 가끔 허공을 향해 짖는 개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목동은 꽃이 핀 사랑스런 풀밭에 누워 나뭇잎들과 풀잎이 속삭이는 소리를 들으며 충실한 개가 지키는 가운데 잠들어 있다'.는 시구가 첫머리에 놓입니다.
오케스트라의 바이올린은 부점 붙은 16분음표로 나뭇잎과 풀잎들이 속삭이는 소리를, 끊기는 비올라는 개 짖는 소리를, 제1바이올린의 선율은 목동을 위한 자장가를 뜻 합니다.
|
비발디(Vivaldi) - 사계 중 "봄 "
▒ 제3악장 '알레그로(Danza pastorale Allegro)' 전원의 춤곡 |
백파이프의 신명나는 가락에 맞춰 요정과 양치기들이 찬란한 봄이 왔다고 춤을 춥니다.
백파이프의 반주에 맞추어 흥겹게 춤추는 농부와 양치기들의 축제를 묘사하고 있는데, 처음의 '투티(Tutti/악보에서, 다 같이 부르거나 다 같이 연주하라는 말)' 총주(총주/투티의 모든 악기가 함께 나오는 부분을 뜻함)'가 백파이프의 소리를, 이어서 나타나는 바이올린의 솔로가 즐거운 춤의 장면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네 번의 투티와 각각의 사이에 솔로 바이얼린의 연주가 등장하는 전형적인 '리토르넬로 양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시골춤. '시골풍의 피리 소리에 맞추어 요정들과 목동들이 빛나는 봄의 오심에 맞추어 춤을 들에 나와 춘다'. 춤곡 테마는 리토르넬로 형식으로 세 번 변화, 반복도디고, 아래 성부들은 목동들의 피리와 두들삭 소리를 모방합니다.
|
비발디(Vivaldi) - 사계 중 "봄 "
이 곡의 커다란 특징은 협주곡이라는 형식을 빌려 봄, 여름, 가을, 겨울, 즉 4계절의 자연과 거기서 어우러지는 사람들의 생활상을 그렸다고 함.
빠른 템포의 양단악장 중간에 느릿한 중간악장을 끼워넣은 3악장 구성입니다.
그리고 곡 하나하나에는 '비발디(Vivaldi)' 자신의 손으로 '소네트(서양 시가(詩歌)의 한 형식으로, 14행으로 이루어진 짧은 시[詩])'를 달았고 또 악보의 요소마다 그 대목이 무었을 나타내고 있는가 하는 것을 주석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따로 해설을 덧붙이지 않아도 그 내용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 작품은 '비발디(Vivaldi)'의 작품집 '화성과 착상의 시도 (Il cimento dell'armonia e dell'invenzione, 1625)'에 실린 12개의 '콘체르토(Concerto/독주 악기와 관현악이 합주하는 악곡)' 중에 포함된 4개(봄, 여름, 가을, 겨울)의 바이올린 '콘체르토(Concerto/독주 악기와 관현악이 합주하는 악곡)'입니다.
17세기초에 작곡된 이 곡은 오늘날 가장 많이 연주되는 클래식 음악에 속하며, 심각하지 않은 쾌활한 울림, 주어진 설명이 쉽게 이해되는 자연현상의 묘사는 많은 사람들에게 친근함을 줍니다.
|
비발디(Vivaldi) - 사계 중 "봄 "
'소네트(Sonnet)' 란~?, 서양 시가(詩歌)의 한 형식으로, 14행으로 이루어진 짧은 시(詩).
'스타카토(Staccato)' 란~? 한 음씩 매우 짧게 끊어 연주하는 것
'리토르넬로(Ritornello)' 란~? 음악에서 대조되는 성격의 삽입악구들 사이사이에서 반복되는 부분.
'콘체르토(Concerto) 란~? 독주 악기와 관현악이 합주하는 악곡
'투티(Tutti)' 란~? 악보에서, 다 같이 부르거나 다 같이 연주하라는 말
'총주' 란~? 오케스트라에서 모든 악기가 함께 나오는 부분을 뜻함
'트릴(Trill)' 이란~? 떨리는 소리 기법
'피피(pp) 란~? 갑자기 매우 여리게라는 뜻임
'패시지(Passage)' 란~? 독주 기악곡에서, 곡의 중요한 부분을 서로 연결해 주는 악구
'모테트(Mottete)' 란~? 수세기에 걸쳐 변형된 성악곡 양식. 주로 라틴어 가사로 된 종교합창곡이 많음
'칸타타(Cantata)' 란~? 17~18세기 바로크 시대에 성행한 성악곡의 한 형식
'오라토리오(Oratorio)' 란~? 성서나 기타 종교적, 도덕적 내용의 가사를 바탕으로 만든 서사적인 대규모 악곡
|
제작, 편집 : 애 풀 잭

비발디 사계 중 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