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팸 전화 스트레스 방지
바퀴벌레보다 질긴 ‘060 전화’ 퇴치법
발칙한 ‘060 스팸전화’스토커처럼 따라다니는 060
스팸전화 스트레스가 심각하다면,
각 이동통신사에 스팸전화 수신 차단서비스를 신청하세요.
이통 3사 고객센터(휴대전화로 지역번호 없이 114)로 전화하면 됩니다.
공짜 서비스이지만, 소비자가 별도로 신청하지 않으면 해주지 않습니다.
060 서비스를 좋아하는 이용자들도 많기 때문에 임의로 잘라 버릴 수 없다고 하네요.
SKT의 경우엔 아이들을 060으로부터 100% 보호할 수 있는
060 발신차단 서비스까지 제공하고 있습니다. 역시 공짜예요(청소년 한도 요금제에 한함).
하지만 이렇게 해도 스팸전화는 계속 날아듭니다.
이럴 땐 060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에 직접 차단 서비스를 요청해 보세요.
현재 060 서비스 제공업체는 모두 5곳입니다.
060-600번으로 시작되는 스팸전화는 데이콤을 거쳐서 광고 영업을 하고 있으므로,
데이콤 안내센터(1544-0001)로 전화를 걸어야 합니다.
060-700은 KT이고 신고전화는 (02)717-02 00,
060-800은 하나로통신이며 신고는 (080) 8282-106,
060-900은 온세통신이며 신고는 1688-1000,
060-300은 SK텔링크로 신고는 1599-00700으로 하세요.
번거롭긴 하지만 다섯 곳 모두 전화해 두면 훨씬 막강합니다.
하나로통신, SK텔링크을 제외한 세 곳은 ARS 자동전화로 간단히 해치울 수 있습니다.
데이콤 등은 전화 한 번으로 식구들 휴대전화와 집전화까지 연달아 거부 신청이 된답니다.
만약 이렇게까지 했는데도 스팸전화가 귀찮게 한다면,
불법스팸대응센터(국번 없이 1336)에 신고하세요.
이경은기자 diva@chosun.com (2007.03.06 22:38)